검색결과 리스트
글
대중스타가 된 근대의 기생
대중스타가 된 근대의 기생 | |||
작성자 | 문화재청 | ||
---|---|---|---|
근대 대중문화의 스타, 기생 우리나라에 ‘대중문화大衆文化’라는 말이 최초로 사용된 것은 <조선일보> 1933년 4월 28일자 사설社說로 알려져 있다. 대중문화의 스타로서 연구 대상인 권번 기생은 시기상 백 년이 못 되는 과거를 가지고 있다. 역사의 관점에서 보면, 거의 동시대의 삶과 별반 다르지 않다. 1930년대는 일제에 의해 ‘강제된 근대’로, 우리 민족의 처절한 수난시대에 해당된다. ‘근대近代’라는 개념은 아직까지 그것에 대한 개념 규정이나 내용에 관해 일치된 견해를 찾기 어렵지만 근대화의 척도 중 하나로 ‘대중매체의 광범위한 보급’을 들 수 있다. 영화, 패션, 광고 등에서 활약 초창기 영화에도 기생 출신의 영화배우가 중심이 되어 출연했다. 각종 전람회와 박람회에서 흥을 돋우기 위한 예능의 기예도 각 권번 기생들의 몫이었다. 예를 들어 보자. 경인철도 개통 초기에 손님이 거의 없을 때 철도회사는 승객을 유치하기 위한 궁여지책으로, ‘평양 명기 앵금’, ‘인천 기생 초선’ 하는 식으로 주요 역 정거장 마당에 기생 이름을 적은 푯말을 꽂아놓고, 일종의 라이브 공연을 벌이기도 했고, 더 나아가 기생들이 기차 칸칸마다 타고 출발역에서 종착역까지 오가면서 승객 유치에 한몫을 했다. 봉건사회의 표상에서 신여성으로 한국의 신여성은 개화기 이후 여성교육과 여성의 사회진출에 의해 생겨났다. 자의식을 가지고 사회 현실에 눈뜨기 시작한 이들은 세계 여성해방의 선진적 조류를 받아들이는 데 앞장섰으며, 기존의 유교적 도덕관에서 벗어나려고 했다. 그리고 주도적인 역할을 한 여성들의 중심에 기생이 있었다. 따라서 그 시대의 여성관을 이해하기 위해서 기생의 삶에 대해 올바로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사회사업에 기여한 기생들 1923년 진주 기생 김연경金燕卿, 김성귀金成龜, 박근영朴槿英, 문숙희文淑 등은 일신학교 대지를 무상으로 기부하는 이들에게 오찬을 제공하기로 하였고, 각계 기생들을 대상으로 기부금 모금에 나섰다. 1933년 전남 출신의 기생 장금향張錦香(1909~?)은 10년 동안 모은 재산의 일부를 사회사업에 내놓았다. 그녀의 본명은 장달막張達莫으로, 사회 보은의 의미에서 그동안 모았던 저금 중에서 현금 500원을 경성부 사회사업에, 또 500원을 자기의 출생지 전남도청에 각각 기부하였다. 이 기부를 접수한 경성부에서는 그녀의 생각이 기특하다고 하여 그것을 사회복지사업의 일환으로 지명하여 사용하였다.1936년에 안악권번의 기생 최금홍崔錦紅은 안악에 고등 보통학교를 설립하는데, 그녀는 안악고보 설립에 적은 돈이나마 써달라고 하면서 현금 100원을 희사하였다. 또한 같은 해 원산 춘성권번의 기생 송학선宋鶴仙도 출신학교에 적지 않은 금액을 기부하였는데, 당시 학령아동 다수 초과로 제3보통학교 실현의 필요가 절실하던 원산에 제1보통학교 졸업생이었던 기생 송학선은 보교 학급 증설비로 300원을 희사하였다. 1930년대 남도 창唱으로 명성을 날렸던 이연숙李蓮淑도 사회사업으로 여생을 보낸 대표적 인물이다. 그녀는 동명목재 강석진姜錫鎭 사장 등과 더불어 미국에서 20세기 초에 시작된 문제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청소년 선도운동, 즉 BBS운동을 가장 먼저 일으켜 앞장서기도 했다. 글·사진·신현규 중앙대학교 교양학부 대학교수 |
'기본카테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탑에서 볼 수 있는 목조건축木造建築 양식 (0) | 2012.07.01 |
---|---|
조선시대 남성의 표상, 갓 (0) | 2012.07.01 |
중국 황산黃山 (0) | 2012.07.01 |
한국 발효음식의 세계성 (0) | 2012.07.01 |
마이산 / 행다行茶 / 선비의 겸손과 의연함에서 인생의 좌표를 찾다 (0) | 2012.05.03 |